게으른 개발자

파일 정보 확인 본문

Linux/Kali

파일 정보 확인

Tomato_Coffee 2024. 3. 17. 22:18

ls 명령어

  • ls = list의 약자
  • 사용법
    • ls [전달 인자]
      • [전달 인자] 부분에 아무것도 안 넣으면, 현재 경로가 자동으로 들어간다.
    • ls [파일 or 디렉터리 경로] [option]
      • 전달인자 = 파일/디렉터리의 경로
    • 옵션 -a : all의 약자
      • 이름 중 맨 앞에 .(점)이 붙은 파일/디렉터리는 숨김 파일/디렉터리가 된다.
      • -a를 쓰면 숨김 파일/디렉터리도 출력이 된다.
    • 옵션 -l : long의 약자
      • 파일/디렉터리의 자세한 정보를 보여준다.

[ ls -al ] = [ ls -a -l ] = [ ls -la ] = [ ls -l -a ]  : 4개다 같은 결과가 나온다.

Type : 위 이미지에서 빨간줄 부분
- : 파일
d : 디렉터리
l : Linked 파일 디렉터리 window로 비유하면 바로가기 같은것

 

권한 정보 : 위 이미지에서 녹색 형광색 부분
Size : 위 이미지에서 주황색 형광색 부분

파일, 디렉터리의 크기정보 단위는 바이트
수정 시간 : 위 이미지에서 핑크색 형광색 부분

 

리눅스에서 '.' 이 파일이름앞에 붙으면 숨김[파일/디렉터리] 이다.
위 이미지에서 파란색 줄 부분

 


만약에 ls 뒤에[전달인자]로 파일을 넣으면 어떻게 될까?

  • 1 : 전달인자로 파일의 경로를 입력하는 경우이다.
    • 결과로 '파일만' 뜨게된다.
  • 2 : 전달인자로 없는 파일의 경로를 입력하는 경우이다.
    • 결과는 찾을수 없다고 뜬다.
  • 결론 : 파일을 전달인자로 주는 경우에는 -l 옵션과 같이 활용해서, 파일의 사이즈, 권한 정보를 확인한다.

만약에 ls 의 더 많은 옵션 정보를 알고 싶으면?

man을 이용하자!! => man ls 

나올때는 q를 누르면 된다.

 

'Linux > Kal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렉터리 경로  (1) 2024.03.23
파일 시스템  (1) 2024.03.22
Home Directory  (0) 2024.03.17
현재 경로  (0) 2024.03.15
명령어 구조  (0)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