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kali
- Vitual Disk Image
- Error
- VDI
- shell
- virtualbox
- Bitnami
- 리눅스 기초
- nomaltic place
- Virtual Box
- MariaDB
- 칼리
- Bandit
- nomaltic
- 칼리 리눅스
- kali linux
- Normaltic
- 네트워크
- mysql
- Linux
- Web shell
- 노말틱
- 기초
- 보안
- 리눅스
Archives
- Today
- Total
게으른 개발자
명령어 구조 본문
1. 명령어
2. 전달 인자 (argument)
3. 옵션
1) 명령어(Commend)
id, clear, ifconfig, poweroff, apt, apt-get, ,reboot, sudo, passwd ...... 이런 명령어들은 하나 하나 전부 프로그램 입니다. 그러면 이 프로그램들의 위치를 알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바로 which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which
ex)
┌──(root㉿kali)-[~]
└─# which id
/usr/bin/id
어떤 명령어의 실제 프로그램 위치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즉, id = /usr/bin/id 는 같은 의미 입니다. 따라서 'id'만 입력하거나, '/usr/bin/id'을 입력해도 같은 결괏값을 보여줍니다.!!
ex)
┌──(root㉿kali)-[~]
└─# /usr/bin/id
uid=0(root) gid=0(root) groups=0(root)
┌──(root㉿kali)-[~]
└─# id
uid=0(root) gid=0(root) groups=0(root)
아래는 which 명령어를 사용한 예시 입니다.
(2) 전달인자(Argument)
명령어가 실행되려면 전달해 줘야하는 데이터가 필요한 명령어가 있습니다. 바로 데이터를 '전달인자(Argument)'라고 합니다.
전달인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백(띄어쓰기)'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앞에서 which id 예시에서
명령어는 which, 전달 인자는 id 였습니다.
또한 전달인자는 쓰는 순서도 중요합니다.
(3) 옵션(Option)
명령어를 실행할 때, 명령어 단독으로 실행되는 명령어(전달인자가 필요없는 명령어)도 있고, 전달인자가 필요한 명령어들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옵션은 '-'(하이픈) 기호와 사용이 됩니다.(어떤 옵션은 '--' 으로 사용) 또한 전달인자와 다르게 순서가 어디에 오든 상관이 없습니다. 물론 명령어 뒤에 와야합니다. ㅎㅎ
만약에 ping 8.8.8.8 를 실행하면 멈추지 않고 계속 실행되는데 종료하고 싶으면 Ctrl + C 단축키를 사용하세요!
정리
이렇게 많은 명령어, 전달인자, 옵션을 일일히 암기해야 하나?
NO!
- 자주쓰다 보면 알아서 기억할것 입니다. 물론 시험을 보신다면 암기를..
- 사용하려는 명령어 뒤에 '-h' 옵션을 붙여서 실행하면 그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 옵션이 뭐가 있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Linux > Kal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정보 확인 (0) | 2024.03.17 |
---|---|
Home Directory (0) | 2024.03.17 |
현재 경로 (0) | 2024.03.15 |
Shell(sh), 쉘 (0) | 2024.03.14 |
CLI (0) | 202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