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보안
- Web shell
- 칼리
- Bandit
- Error
- shell
- Bitnami
- kali linux
- VDI
- Virtual Box
- 칼리 리눅스
- nomaltic place
- 리눅스
- Normaltic
- 리눅스 기초
- 네트워크
- 노말틱
- kali
- Linux
- nomaltic
- mysql
- Vitual Disk Image
- MariaDB
- virtualbox
- 기초
- Today
- Total
목록Linux/Kali (23)
게으른 개발자

UID/GID 여러사람이 같이쓰려면 계정이 필요하다. 계정마다 권한을 확실히 부여해야함. 계정마다 어떤 파일, 디렉토리를 사용하고 들어갈수 있는지 권한을 설정해야한다. 지금까지 실습에서는 root 계정을 사용 컴퓨터는 계정을 숫자를 사용자를 관리함. ==> UID (User ID) 비슷한 역할을 가진 사용자를 모아서 그룹으로 묶음. == > GID(Group ID) 이 모든것은 숫자로 관리가 된다. root : 최고 관리자 권한을 가지고 있다. id 명령어 id를 사용하면, uid, gid, groups 정보를 알 수 있다. useradd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 이름이 tomato인 계정을 생성한다. 위 이미지에서 노랑색 사각형과 빨강색 사각형을 보자 "$" : 달려 표시는 일반 사용자임을 의미한다...

mv 명령어 : 파일을 이동한다. mv [src] [dst] (A) 라는 파일을 ./mv_dir/ 로 옮길거야.! (1) (A)를 복사! (2) (A) 파일을 삭제 mv 명령어는 cp 명령어와 유사하다. 차이점 : cp는 원본을 남겨두고, rm은 파일을 복사한후 src파일을 삭제한다 파일 이름을 변경할 때도, mv 명령어를 사용한다

rm [삭제할 파일] 대표 옵션 -r : 디렉터리도 지울 수 있다. -f : 강제 삭제 위에서 "파일"은 rm 명령어로 지워진다. 그러나 디렉터리를 삭제할 때는 -r 옵션을 넣어서 삭제해줘야 한다. rm ./copy_dir --(x) rm -r ./copy_dir --(o) rm -rf : 디렉토리도 지울 수 있고 파일도 지울 수 있다. - 천하무적 근데 서버에서는 위험하기 때문에 잘 안 쓴다. rm -rf / : 최상위 경로("/" == root directory)를 삭제한다. ○ 서버를 날릴 수 있다. -- 죽음, 파괴 ....무서운 명령어 ○ 리눅스 파일 전체를 삭제시키는 명령어

cp명령어 : copy의 약자 cp [src] [dst] src, dst에는 파일 경로를 넣어주면 된다. 상대 경로, 절대 경로 모두 가능 파일을 복사할 때, 이름을 어떻게 바꿔서 넣을까? 예시) cp_test(원본)를 파일 이름이 copy_test으로 복사하고 싶을때 mkdir 명령어 make directory의 약자 : 디렉터리를 생성해주는 명령어 디렉터리 복사하는법 ○파일과 다른점은 디렉터리를 복사할 떄는 option "-r"을 명시해야 한다. ○"-r" : recursive(재귀적)의 약자이다. "-r" 옵션을 사용하면 복사할 디렉터리 안의 모든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을 포함하여 재귀적으로 복사한다. 따라서 디렉터리를 복사할 때 디렉터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터리도 함께 복사된다. cp ..

vi파일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는 법 1. vi 명령어 사용 => ex) vi vi_test 2. cat 명령어 사용 cat : concatenate[연결하다] =데이터를 연결한다는 의미. cat vi_test /etc/passwd 확인하는법 1. vi /etc/passwd 2. cat /etc/passwd cat /bin/ls ○ /bin/ls는 ls명령어의 실행 파일이다. 실행 파일이기 때문에 Binary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 이진 파일은 일반적으로 텍스트로 해석할 수 없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터미널에서 이를 출력하면 글자가 깨지거나 이상한 문자가 나타날 수 있다. ○ Binary == 2진, 16진 데이터 파일 == 실행파일, 라이브러리 파일 file ex) file /bin/l..

vi : visual interface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Text Editor 중 유명한게 바로 vi. vi는 CLI 기반의 텍스트 에디터이다. 그러면 VIM 은 무엇인가? ○Vi IMproved 의 약자 ○ VIM은 vi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우리가 사용하는건 vi 2가지 모드 (1) 입력 모드 : [i 버튼] (2) 명령 모드 : [esc 버튼] 명령어 [vi] 입력 후→vi text editor로 변경됨. [i]를 눌러서 입력모드 설정 내용입력 [esc]를 눌러서 명령모드 설정 [:w vi_test] = 해당 내용을 파일명을 [vi_test]로 하고, [write]=[저장] 한다는 의미. enter [:q] = vi 모드에서 [quit]=[탈출] 원래 커맨터 상태로 복귀 [ls -l] 명령어를..

TAB 해커들의 영타속도는 빠를까? → 물론 빠르긴하다. → 그러나 tab을 사용해서 자동완성 기능을 많이 사용한다. 즉, 글자의 일부분만 쓰고 tab 키를 누르면 자동완성이 된다. 만약에 cd Do 만 치고 tab을 누른다면 Do로 시작하는 디렉터리나 파일 목록을 띄어준다. 이때, 다시 또 tab을 누르면 흰색 바탕 사각형이 파일, 디렉토리를 이동하게 되는데 원하는 파일, 디렉터리를 선택하면 된다.

상대경로 vs 절대경로 경로 : 파일의 위치를 표현하는 방법 1) 절대 경로 최상위 디렉터리부터 쭉 ~ 다 표현하면 이게 절대 경로 표현 방법. ex) (1) : /etc/passwd (2) : /root 2) 상대 경로 현재 내가 위치한 곳에서부터 표현하면 상대 경로 표현 방법. ○ 지금 내가 어디에 있느냐(pwd 명령어)에 따라서 표현 방법이 바뀜. ○ 내가 어디있는지가 굉장히 중요하다.!! ○ ( . ) : 지금 내가 있는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ex) 정리 (1) cd /root/Desktop → 절대 경로로 표현한 것 (2) cd ./Desktop → 상대 경로로 표현한 것 (..) : 지금 내가 있는 곳에서 한 단계 위의 경로 위 이미지와 같이 (..)을 연속으로 사용할 때는 ../../ 이런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