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Linux
- nomaltic
- virtualbox
- Normaltic
- 리눅스
- 칼리 리눅스
- kali linux
- mysql
- Virtual Box
- 노말틱
- 리눅스 기초
- shell
- Bitnami
- MariaDB
- nomaltic place
- 기초
- 칼리
- kali
- VDI
- Bandit
- Web shell
- Vitual Disk Image
- 보안
- 네트워크
- Error
Archives
- Today
- Total
게으른 개발자
passwd 본문
복습
linux 계정들은 home directory를 가지게 됩니다.
'~' 표시는 바로 Home 디렉터리의 표현 방법입니다.
계정을 변경하는 명령어는 'su'입니다. ex ) su junho
root 계정에서 su 명령어를 실행할 때는 Password를 안쳐도 됩니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 계정에서 다른 계정으로 전환을 할 때는 Password를 입력하고 넘어가야 합니다. 여기서 주의 할 점은 [Password:] 옆에 키보드를 입력하면 화면에는 출력이 되지는 않지만 입력이 정상적으로 되고 있으니 꼭 알고 있어 주세요! password 입력한 후 enter를 누르면 됩니다.
# : root(최고 관리자) 계정을 의미합니다.
$ : 일반 사용자를 의미합니다.
cat /etc/passwd
- root : 계정 아이디, 사람들이 사용하는 ID
- X : 계정 비밀번호를 의미. 옛날 리눅스에서는 여기에 비밀번호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었습니다. 지금은 보안상의 이유로 X로 표시하고, 비밀번호는 /etc/shadow 디렉터리에 HASH함수로 암호화 한 뒤에 보관이 되고 있습니다.
- 0 : 이 부분은 UID입니다. 컴퓨터가 인식하는 사용자(User) ID를 나타냅니다. root의 사용자 ID는 0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0 : 이 부분은 GID 입니다. 컴퓨터가 인식하는 그룹(Group) ID를 나타냅니다. root의 그룹 ID는 0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root :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 입니다. Comment 필드라고 불리며 사용자의 추가 정보들이 저장되는 위치입니다. 계정 이름, 사용자 전체 이름 등등 이 여기에 들어갑니다.
- /root : Home 디렉터리를 의미합니다.
- 로그인 shell : 계정에게 제공되는 기본 쉘입니다. 터미널을 켜거나 로그인했을 때 제공되는 기본 shell을 의미합니다. root의 기본 shell은 zsh입니다.
nologin으로 끝나는 계정은 리눅스 시스템이 사용하는 계정이라서 계정전환을 할 수가 없다.
'Linux > Kal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 권한 (0) | 2024.03.31 |
---|---|
rwx (0) | 2024.03.31 |
kali 사용자 계정 생성 (0) | 2024.03.30 |
UID/GID (0) | 2024.03.26 |
MOVE - 파일 이동 (0) | 2024.03.24 |